연구실 일상점검 실시 내용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연구실 일상점검 실시 내용 양식과 작성법

연구실 일상점검 실시 내용이란?

연구실 일상점검표는 연구실의 안전관리담당자 또는 연구활동종사자가 매일 연구활동 시작 전에 실험실의 전반적인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이 점검표는 일반, 기계, 전기, 화공, 소방, 가스, 생물 등 다양한 안전 분야의 핵심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발견하고 조치하여 연구실 내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합니다.

연구실 일상점검표 작성 방법

연구실 일상점검표 양식과 작성법

이 점검표는 연구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소를 7개 분야로 나누어 점검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점검 항목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양호’, ‘불량’, ‘미해당’으로 평가하여 기록해야 합니다.

1. 일반안전 및 화공안전

연구실 환경은 깨끗하고 화학물질은 안전하게 보관되어 있는가?

  • 일반안전: 연구실의 정리정돈 및 청결 상태, 안전수칙 게시 여부, 구급약품 비치 상태 등 기본적인 안전 환경을 점검합니다.
  • 화공안전: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비치 여부, 화학물질을 성질과 상태에 따라 분리하여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지, 실험 폐액을 규정에 맞게 관리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2. 전기안전 및 소방안전

전기 위험과 화재 위험은 없는가?

  • 전기안전: 사용하지 않는 기구의 전원 차단 여부,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여부, 전선 피복의 손상 여부, 분전반 주변 장애물 유무 등을 점검합니다.
  • 소방안전: 소화기가 정해진 위치에 비치되어 있고 점검 상태가 양호한지, 비상구와 피난 통로가 확보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3. 가스안전 및 생물안전

가스 누출이나 생물학적 위험 요소는 없는가?

  • 가스안전: 가스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고 환기가 잘 되는지, 가스 누설 경보기가 정상 작동하는지 등을 점검합니다.
  • 생물안전: 생물체(LMO)나 의료폐기물이 규정에 따라 관리되는지, 고압멸균기 등 살균 장비가 제대로 관리되는지, 생물재해(Biohazard) 표시가 부착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점검 결과 및 후속 조치

  • 점검 결과: 각 항목을 확인 후 ‘양호’, ‘불량’, ‘미해당’ 중 하나에 표시합니다.
  • 지시(특이) 사항: ‘불량’으로 판정된 항목에 대해 어떤 문제가 있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필요한 조치 사항을 작성합니다.
  • 점검자 서명: 점검을 완료한 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가 서명하여 내용의 신뢰성을 증명합니다.

전자서명으로 일상점검 업무 관리하기

매일 반복되는 연구실 일상점검은 안전의 기본이지만 종이 서류 기반의 관리는 번거롭고 후속 조치 추적이 어렵습니다. 전자서명 시스템을 도입하면 일상점검 업무를 더욱 스마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연구실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점검 및 사진 첨부를 통한 현장 즉시 보고

안전관리자는 더 이상 종이 점검표를 들고 다닐 필요 없이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현장을 돌며 즉시 점검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불량’ 항목 발견 시 해당 부분의 사진을 찍어 점검표에 바로 첨부하면 문제 상황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어 서면 보고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문제를 전달하고 신속한 조치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및 안전 감사 대비

매일 작성되는 점검표는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분실이나 훼손의 위험이 없습니다. 누적된 점검 데이터를 통해 특정 항목에서 반복적으로 ‘불량’이 발생하는지 등을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점검 기록과 담당자 서명은 위·변조가 불가능한 ‘감사추적인증서’로 생성되어 외부 안전 감사나 평가 시 신뢰도 높은 증빙 자료로 손쉽게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일상점검 실시 내용 양식 받기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