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주주총회 의무화 시행, 주주권 강화와 디지털 전환

URL복사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시행, 주주권 강화와 디지털 전환

최근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주총회가 의무화되어 언제 어디서든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의무화된 전자주주총회와 운영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자주주총회 의무화란?

📍전자주주총회
주주가 총회장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원격으로 참여하여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식의 주주총회

상법개정안에 따르면, 상장회사는 정관에서 달리 정하지 않는 한 전자주주총회를 기존 총회와 병행해 개최할 수 있습니다. 즉, 주주가 현장에 직접 참석하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총회에 참여하고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 의사결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주 참여 접근성을 개선하며 디지털 기반 경영 인프라 확산을 지원합니다.

기존 오프라인 주총과의 차이점

구분오프라인 주총전자주주총회
참석 방식직접 방문PC/모바일 접속
시간 제약특정 일자, 특정 시간언제든 참여 가능
비용장소, 인쇄물, 인력 등 비용 발생온라인 시스템 사용 비용
기록 관리수기 또는 인쇄전자 기록 및 전자서명

전자주주총회 의무화의 필요성

기존 주총의 한계

오프라인 주주총회의 문제는 낮은 참석률이였습니다. 특히 소액주주의 참여가 어려워 ‘깜깜이 주총’이라는 비판까지 나온 이유입니다. 시간과 비용, 물리적 제약 때문에 많은 주주가 권리를 행사하기 어려웠습니다.

디지털 전환과 주주권 보장 강화

전자주주총회로 주주 참여까지 편리해집니다. 이는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소액주주의 권익을 보호합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더 많은 주주가 의사결정에 쉽게 참여하도록 돕습니다.

전자주주총회 운영방식

① 사전 준비: 안정적인 전자주주총회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선정합니다.

② 소집 통지: 이메일 등으로 주주에게 소집통지서와 온라인 접속 방법을 안내합니다.

③ 본인 인증 및 접속: 주주는 총회 전용 플랫폼에 접속하여 공동인증서나 휴대폰 인증 등으로 본인 확인을 거칩니다.

④ 총회 진행 및 의결권 행사: 총회 당일 주주는 실시간 영상 중계를 보며 채팅 등으로 질의하고 전자투표 시스템으로 의결권을 행사합니다.

➡️ 기존이랑 어떻게 달라질까?

기존에는 우편으로 소집통지서를 보내고 현장에서 참석자 등록을 받았습니다. 이제는 전자투표 시스템을 운영하고 주주 본인인증 절차를 처리하는 절차를 마련해야 합니다.

전자주주총회, 전자서명 활용하기

상법에 따라 주주총회의 진행 과정과 결의 내용을 기록한 의사록 작성은 법적 의무입니다. 의사록은 등기 변경 등 후속 절차에 필수적이며, 향후 법적 분쟁 발생 시 중요한 증거자료로도 활용됩니다.

반복 문서 자동화

의사록 작성 시 템플릿 기능을 활용하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의사록 양식을 미리 등록해두고 회의 일자·참석자·의결사항 등 핵심 정보만 입력하면 손쉽게 문서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다중 서명 요청

작성된 의사록은 여러 이사와 주주에게 동시에 서명을 요청할 수 있어 참석자가 원격지에 있더라도 빠르고 간편하게 결재를 마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진행 현황 추적

누가 서명을 완료했는지, 누가 아직 남아 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미서명자에게는 자동 알림을 보낼 수 있어 의사록 확정까지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습니다.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