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권리를 지켜주는 용역계약서 vs 근로계약서 구분법

URL복사
내 권리를 지켜주는 용역계약서 vs 근로계약서 구분법

외부 인력을 활용할 때 용역계약서와 근로계약서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용역계약서와 근로계약서의 핵심 차이점부터 적용 상황, 법적 효력, 그리고 실무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구분용역계약근로계약
목적독립적 업무 완성종속적 근로 제공
지위독립사업자(수급인)근로자
지휘·감독받지 않음 (X)받음 (O)
핵심 의무계약 대금 지급4대 보험, 퇴직금 등
세금 처리개인 처리(사업소득세)회사 원천징수(근로소득세)

용역계약서 vs 근로계약서

용역계약서는 특정 업무의 결과물을 완성하여 납품하는 계약, 근로계약서는 회사의 지휘·감독 하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을 받는 계약입니다.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지휘·감독권으로, 근로계약은 회사가 직원에게 구체적으로 지시할 수 있지만 용역계약은 결과물만 요구할 뿐 과정에 개입할 수 없습니다.

근로계약과 용역계약의 결정적 차이

  • 근로계약: 고정비용과 강력한 법적 책임
    • 4대 보험료 회사 부담분, 퇴직금, 연차·주휴수당 등 구체적인 비용 항목
    • 마음대로 해고할 수 없는 ‘고용 안정’ 의무
  • 용역계약: 명확한 과업과 대가 지급으로 끝나는 관계
    • 계약된 용역 대금 외 추가 비용 발생 X
    • 3.3% 사업소득세 원천징수로 간편한 세무 처리
    • 계약 만료 또는 해지 사유 발생 시 관계 종료 용이

자주 하는 질문 TOP 5

Q1. 프리랜서도 근로계약서를 쓸 수 있나요?

A: 아니요. 프리랜서는 독립적인 사업자로서 용역계약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를 쓰면 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어 예상치 못한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2. 용역계약이라도 4대 보험에 가입해야 하나요?

A: 원칙적으로 용역계약자는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아닙니다. 단, 월 80만원 이상 지급하는 경우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선택사항)

Q3. 재택근무자는 어떤 계약서를 써야 하나요?

A: 재택근무라도 회사의 지휘·감독을 받는다면 근로계약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근무 장소가 집일 뿐, 근로관계의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Q4. 용역계약자도 퇴직금을 줘야 하나요?

A: 아니요. 용역계약자는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단, 실제 근로관계로 인정되면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5. 계약 중간에 형태를 바꿀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실제 업무 관계가 변경되어야 하며,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단순히 계약서만 바꾸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