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장 자체 안전검사표 (구동 무대기계ㆍ기구가 없는 경우)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공연장 자체 안전검사표 (구동 무대기계ㆍ기구가 없는 경우) 양식과 작성법

공연장 자체 안전검사표 (구동 무대기계ㆍ기구가 없는 경우)란?

공연장 자체 안전검사표 (구동 무대기계ㆍ기구가 없는 경우)는 승강무대나 회전무대와 같은 동력으로 움직이는 대형 기계 장치가 없는 공연장에서 무대시설의 안전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서입니다.

이 검사표는 주간 단위의 외관 검사와 월간 단위의 체결 및 고정 상태 검사로 나뉘며 공연 전 안전을 확보하고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발견하여 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공연장 자체 안전검사표 작성 방법

행정규칙 > 공연장 무대시설 안전진단 시행세칙

이 검사표는 주간 검사(외관 검사)와 월간 검사(체결 및 고정상태 검사)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각 점검 주기에 맞춰 해당 항목을 점검하고 결과를 기록해야 합니다.

1. 주간 안전검사표 – 외관 검사

매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시각적 점검으로 시설물의 부식, 손상, 변형 등 눈에 보이는 이상 징후를 확인합니다.

  • 와이어로프 및 체인: 부식이나 산화 상태를 점검합니다.
  • 장치봉 및 천장 프레임: 조명기 등에 안전망과 안전고리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배전반: 전선 피복의 손상이나 오염, 배전반 외함의 부식 또는 변형 여부를 점검합니다.
  • 무대바닥: 무대바닥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2. 월간 안전검사표 – 체결 및 고정상태 검사

매월 실시하며 외관 검사보다 심층적으로 시설물의 연결부가 견고한지, 고정이 잘 되어있는지 점검합니다.

  • 와이어로프 및 체인: 무대시설을 매달고 있는 와이어로프가 느슨해지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철골 프레임류: 용접 부위에 균열이 없는지, 볼트 등 체결부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 그리드 및 점검 통로: 그리드와 건축 구조물의 연결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공통 기록 항목

  • 검사결과: 각 항목에 대해 ‘양호’ 또는 ‘불량’으로 표시합니다.
  • 특이사항: 검사 결과가 ‘불량’인 경우, 문제의 내용을 요약하여 기재합니다.
  • 조치결과: ‘특이사항’에 기재된 문제점에 대한 수리나 보강 조치를 상세하게 작성합니다.

전자서명으로 안전검사 업무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공연장 안전검사는 실제 안전 조치 이행과 투명한 기록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마무리됩니다. 반복되는 점검과 신속한 후속조치 기록, 전자서명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모바일 최적화 서식 및 사진 첨부 기능

안전 점검자는 현장에서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즉시 검사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불량’ 항목 발견 시 해당 부분의 사진을 직접 찍어 검사표에 바로 첨부하면 문제 상황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어 서면 보고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문제를 전달하고 조치할 수 있습니다.

2) 대시보드를 통한 안전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매주, 매월 작성되는 안전검사표가 서명 완료되면 ‘양호’, ‘불량’ 등 점검 결과 데이터가 지정된 구글 시트로 전송합니다. 사용자는 전송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글 시트의 피봇 테이블, 차트 등 다양한 기능으로 맞춤형 안전관리 대시보드를 직접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연장 전체의 안전 현황을 한눈에 파악 가능합니다.

3) 워크스페이스 공유를 통한 신속한 후속 조치 관리

안전 점검자가 ‘불량’ 항목을 포함한 검사표 작성을 완료하고 서명하면 해당 문서는 즉시 전자서명 시스템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이렇게 저장된 문서는 워크스페이스 기능을 통해 시설관리팀이나 다른 담당자에게 즉시 공유될 수 있습니다.

📌 공연장 자체 안전검사표 (구동 무대기계ㆍ기구가 없는 경우) 양식 받기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