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대장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임금대장 양식과 작성법

임금대장이란?

임금대장이란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의 계산 기초와 지급 내역 등을 상세히 기재하는 법정 서식입니다.

이 문서는 근로자 개인의 인적 사항, 근로일수, 근로시간, 각종 수당 및 공제 내역을 명확히 하여 임금 지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급여 관련 분쟁을 예방하며 법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한 필수 자료입니다.

임금대장과 급여명세서의 차이

임금대장:

  • 목적: 사용자가 임금 계산 및 지급 내역을 기록하고 보관하기 위한 장부입니다. (근로기준법 제48조)
  • 작성 의무: 사용자의 의무이며, 각 사업장별로 작성해야 합니다.
  • 교부 의무: 근로자에게 매번 교부할 의무는 없습니다. (단, 근로자는 열람 요구 가능)
  • 주요 내용: 임금 계산의 기초가 되는 사항(근로일수, 시간, 기본급, 수당 등)과 공제 내역, 총액 등 포괄적인 정보를 담습니다.

급여명세서:

  • 목적: 근로자가 자신의 임금 지급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회사)가 교부하는 문서입니다. (근로기준법 제48조 제2항)
  • 작성 및 교부 의무: 사용자의 의무이며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근로자에게 반드시 교부해야 합니다.
  • 주요 내용: 근로자 정보, 임금 지급일, 임금 총액, 임금 구성항목별 금액(기본급, 수당, 상여금 등), 출근일수/근로시간 수 등에 따른 계산 방법, 공제 항목별 금액과 총액 등이 포함됩니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7조의2)

쉽게 말해 임금대장은 회사가 보관하는 상세 급여 장부이고 급여명세서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직원에게 발급하는 급여 내역서입니다.

임금대장 작성 방법

임금대장 양식과 작성법

임금대장은 급여 지급 시마다 작성하며 근로기준법에 따라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 근로자 정보 및 임금 계산 기초: 근로자의 성명, 생년월일, 고용연월일, 종사업무 등 인적 사항기본급(시급, 일급, 월급 등) 및 각종 수당(가족수당 등)의 계산 기초 사항을 정확히 기재합니다.
  • 근로 내역 상세 기재: 해당 월의 총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은 물론 연장·야간·휴일 근로가 발생했다면 해당 시간 수를 정확히 산정하여 기입합니다.
  • 임금 총액 및 공제 내역 산정: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합산한 임금 총액과 세금 및 4대 보험료 등 공제액을 명시하고 최종적으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실 수령액(영수액)을 계산합니다.
  • 영수인(서명): 근로자가 해당 임금을 정산 받았음을 확인하는 서명(영수인)을 받습니다.
  • 작성 및 보존 의무:
    • 임금대장은 임금 지급 시마다 작성해야 합니다.
    • 작성된 임금대장은 근로기준법 제42조에 따라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전자서명으로 임금대장 전송하기

임금대장은 다수의 근로자에게 급여 지급 내역을 확인받고 서명(영수인)을 받아야 하는 문서입니다. 급여 지급 투명성 증명과 법령 준수,이제 전자서명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완료해 보세요.

대량전송 기능으로 전 직원 급여 내역 확인 한 번에

매월 반복되는 급여 내역 확인 업무, 엑셀 파일 업로드 한 번으로 전 직원에게 맞춤형 임금대장을 발송하고 서명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 기능으로 매월 동일한 양식 사용

법정 서식인 임금대장 양식을 ‘템플릿’으로 저장해두면 새로 문서를 만들 필요 없이 저장된 양식을 불러와 간편하게 발송할 수 있습니다.

📌 임금대장 양식 받기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