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IMHR이 제공하는 콘텐츠입니다. IMHR은 기업의 문제 해결과 실행에 집중하는 HR 전문가 팀으로, 인사노무 자문, HR 컨설팅, 급여 아웃소싱, 콘텐츠 등 다양한 HR 서비스를 Fit하게 제공합니다. [더 보기]
A. 명확한 노무수령 거부 의사에도 불구하고 직원이 근로를 제공하였다면,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을 지급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연차휴가 사용 촉진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회사에서, 직원이 지정한 연차휴가일에 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출근하여 계속 근무한 경우, 해당일의 연차휴가는 어떻게 되는지 많이 물어보는데요. 이에 대하여, 고용노동부 행정해석(근로기준과-351, 2010. 3. 22. 회시)은 사용자가 노무수령 거부 의사를 명확히 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를 제공한 경우에는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또한, 대법원 판례(대법 2019다279283, 2020. 2. 27. 판결)에 따르면, “연차 유급휴가 사용 촉진 조치를 취하였음에도 근로자가 지정된 휴가일에 출근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사용자가 별다른 이의 없이 근로자의 노무제공을 수령하였다면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한 보상의무가 있다. 근로자가 자발적인 의사에 따라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없다.”라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노무수령 거부 주의점
따라서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명확한 노무수령 거부 의사를 표시하였는지가 핵심이라고 할 것입니다. 즉, 연차휴가 사용 촉진 절차는 근로기준법 규정대로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는데 지정된 휴가일에 직원이 출근한 경우, 명확한 노무수령 거부 의사를 표시하였다면 휴가수당 보상 의무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회사에서는 휴가일에 출근한 직원 스스로가 사용자의 노무수령 거부 의사를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한 거부를 표시하였음을 입증할 수 있도록 실무적으로 관리하여야 합니다. 또한, 휴가일에 출근한 직원에게는 그 어떠한 업무지시도 이루어지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합니다. 나아가 “묵시적 노무 수령”에 관한 추가적인 이슈가 없도록, 지정된 휴가일에 출근한 직원에게는 가급적 즉시 퇴근 조치를 내리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노무수령 거부 통지 요령
한편, 근로기준법에는 노무수령 거부 의사표시와 관련한 방법을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을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① 업무 수행 및 근태 관리에 대한 지시 및 통제가 있었는지 여부
② 노무수령 거부 의사 방법의 명확성
③ 출근 사유가 업무 수행과 긴밀한 관련성이 있는지 등의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
노무수령 거부를 위해 연차휴가일에 해당 근로자의 책상위에 노무수령 거부의사 통지서를 올려놓거나 귀가 통지서 교부, 컴퓨터를 켜면 노무수령 거부의사 통지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는 등 직원이 회사의 노무수령 거부의사를 인지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