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직거래, 전자계약으로 안전하게 하는 방법

URL복사
부동산 직거래, 전자계약으로 안전하게 하는 방법

“방 비밀번호까지 알려줬는데 사기라니…”

최근 중개수수료 없는 직거래 플랫폼에서 발생한 부동산 사기 사건으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계약서’까지 작성했음에도 피해가 발생하여, 그 편리함 이면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졌습니다.

문제의 진짜 원인은 ‘전자계약’이 아닙니다. 사기의 핵심은 계약 방식이 아닌, 계약 전 가장 중요한 ‘소유자 확인 절차’를 생략한 데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 직거래를 안전하게 하는 ‘필수 확인 3단계’와 ‘안전한 전자계약 활용법’을 명확하고 알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2. 부동산 직거래 사기를 막기 위한 필수 확인 절차

1) 신원 확인

  •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직접 확인
  • 대리인일 경우 위임장, 인감증명서까지 검증

2) 등기부 등본 확인

  • 인터넷등기소에서 소유권·근저당권·가압류 여부 조회
  • 임대인 이름과 등기부 상 소유자 일치 여부 반드시 확인

3) 계약금 지급 방식

  • 일반 계좌 이체보다 안전계좌·에스크로 서비스 활용
  • 계약금은 반드시 본인 명의 계좌로 송금

4) 현장 확인

  • 직접 방문해 실물 확인 필수
  • 건물 관리인, 이웃에게 거주·소유 여부 확인

3. 안전한 계약 문서 작성 방법

  • 보증금·월세·중도금·입주일·특약사항 등을 누락 없이 기재
  • ‘전화 통화로 말한 내용’도 반드시 계약서에 포함
  • 가능하다면 법률 전문가 검토 또는 제3자 보증 활용

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계약서 형식”이 아니라, 거래 과정을 얼마나 검증했는가입니다. 편리한 직거래 환경만 믿기보다는, 반드시 위 체크리스트를 따라 단계별로 확인해야 합니다. 조금 번거로워 보여도, 이 과정이 사기를 예방하고 재산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안전한 거래 습관을 꾸준히 실천한다면, 불필요한 피해를 예방하고 더 안심할 수 있는 부동산 거래 문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류재언 변호사ㅣ변호사가 직접 쓰는 전자계약의 법적효력과 200% 활용법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