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험요인 개선활동 보고서란?
위험요인 개선활동 보고서란, 위험성 평가를 통해 발굴된 유해·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낮추기 위해 수립한 ‘위험성 감소대책’을 실제로 이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이 보고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른 사업주의 개선 조치 의무를 이행했음을 증명하고, 개선 활동의 효과를 추적 및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위험요인 개선활동 보고서 작성 방법
보고서는 기존에 평가된 위험성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 위험성 순위 및 감소대책 기재: 개선 대상이 되는 위험요인의 ‘위험성 순위’와 실행하기로 계획했던 ‘위험성 감소대책’을 명확하게 기재
- 개선활동 이행상황 구체적 서술: 수립된 감소대책을 어떻게 실행했는지, 그 결과 위험요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작성 (예: ‘안전 덮개 설치 완료’, ‘보호구 지급 및 착용 교육 완료’ 등)
- 미진한 사항의 개선계획: 만약 개선 활동이 계획대로 완료되지 않았거나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경우, ‘미진한 사항의 개선계획’ 란에 구체적인 추가 계획을 작성
- 확인자 서명: 모든 개선 활동과 보고서 작성이 완료되면, 안전관리책임자가 최종적으로 내용을 확인하고 서명
전자서명으로 위험요인 개선활동 보고서 전송하기
위험요인을 발굴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개선 조치를 실행하고 기록하는 것입니다. 조치 이행부터 책임자 승인까지, 이제 전자서명으로 지체 없이 처리하고 확실한 증거를 확보하세요.
- 서명 순서 지정으로 명확한 책임 승인 절차 확립
개선 조치를 실행한 실무 담당자가 먼저 서명한 후, 해당 부서 관리자를 거쳐 최종 안전관리책임자가 승인하도록 서명 순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자동 알림 기능으로 개선 조치 지연 방지
다음 서명 순서가 되면 담당자에게 카카오톡이나 이메일로 알림이 자동으로 발송됩니다. 중요한 안전 개선 조치 보고가 누락되거나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를 돕습니다.
- 대시보드로 개선 활동 현황 실시간 파악
안전관리자는 대시보드를 통해 여러 부서의 개선활동 보고서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전체 사업장의 안전 개선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