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영상 출연표준계약서(음악 분야)란?
음악 분야 대중문화예술인이 방송이나 영상에 출연할 때 방송사 또는 제작사와 합리적인 권리관계를 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 계약서는 방송사(제작사), 출연자, 그리고 소속사가 있는 경우 매니지먼트사까지 3자가 함께 체결하여 각자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고 상호 협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방송·영상 출연표준계약서 작성 방법
계약 주요사항 (출연료) : 출연료는 얼마이며 어떻게 지급하는가?
- 회차 당 출연료를 자유계약 또는 등급 계약 방식으로 명확히 정함
- 출연료를 언제 지급할지(최초 방송 후, 촬영 종료 후 등) 구체적인 지급 시기와 방법을 기재
제 2 조 (사업자의 의무) : 제작사는 무엇을 보장해야 하는가?
- 출연자의 기본적인 권익과 안전을 보장할 의무를 명시
- 1일 최대 촬영 시간을 18시간 이내로 제한
- 촬영장에 편의시설을 제공하며 상해보험 가입 등
제 3 조 (출연자의 의무) : 출연자는 무엇을 지켜야 하는가?
- 아티스트와 소속사가 지켜야 할 의무 조항
- 아티스트는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성실하게 촬영에 임해야 함
- 또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프로그램에 피해를 주는 일이 없도록 함
제 4 조 (저작권·저작인접권 등): 제작된 영상의 권리는 어떻게 되는가?
- 아티스트의 가창, 연주 등 실연에 대한 권리
- 사업자는 아티스트의 실연을 사용하는 경우 저작인접권 사용료를 지급
- 만약 원본 영상물을 계약된 범위 외에서 편집하거나 변형하여 활용하려면 별도로 협의
전자서명으로 방송·영상 출연표준계약서 전송하기
음악 방송, 온라인 콘텐츠 등 프로그램 제작에는 방송사, 제작사, 아티스트, 소속사 등 여러 관계자가 참여합니다. 바쁜 스케줄 속에서 모두가 만나 종이 계약서에 도장을 찍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이제 전자서명으로 복잡한 출연 계약 과정을 쉽고 빠르게 해결해 보세요.
- 바쁜 스케줄에도 신속한 계약 체결
- 아티스트, 소속사, 제작사 담당자는 각자 다른 장소에서 다른 스케줄을 소화합니다. 전자서명을 이용하면 누가 어디에 있든 휴대폰이나 태블릿으로 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즉시 서명할 수 있습니다.
- 긴급하게 편성이 잡히거나 캐스팅이 결정되어도 만날 필요 없이 신속하게 계약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 수많은 계약서의 체계적인 관리
- 하나의 프로그램에는 수십 명의 아티스트와 스태프가 참여하여 계약서가 매우 많고 복잡합니다.
- 전자서명을 이용하면 모든 출연 계약서를 한 곳에서 관리하고, 누가 서명했는지 진행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가 바뀌어도 모든 계약 이력이 투명하게 관리되어 혼선이 없습니다.
- 출연료 등 민감 정보의 완벽한 보안
- 출연료와 같은 계약 내용은 외부에 노출되어서는 안 될 민감 정보입니다.
- 전자계약은 암호화된 상태로 계약서가 전달되고, 서명 전 본인인증을 통해 지정된 서명자만 계약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실이나 유출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관광,
국정에 대한 홍보 및 정부발표에 관한 사무를 총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