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정일자 온라인 신청 방법 총정리

URL복사
확정일자 온라인 신청방법

전세나 월세 계약 후, 소중한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법적 최소 조건이 바로 ‘확정일자’를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평일 낮에 시간을 내어 주민센터에 방문하기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죠.

다행히 이제 집에서도 PC나 모바일로 단 몇 분 만에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확정일자를 받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 ‘인터넷등기소’‘정부24’의 이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 전, 필수 준비물 3가지

온라인 신청을 시작하기 전, 아래 세 가지를 미리 준비하면 과정을 더 빠르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임대차 계약서 파일
    종이 계약서라면 전체 페이지를 선명하게 스캔하거나 사진 찍은 PDF, JPG 등의 파일이 필요합니다.
  • 본인인증 수단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나 금융인증서, 간편인증(카카오, 네이버 등)을 미리 준비해 주세요.
  • 소액의 수수료
    온라인 확정일자 발급 수수료는 500원입니다. 결제할 카드나 계좌를 준비해 주세요.

    방법 1.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신청하기

    전입신고는 이미 마쳤거나 확정일자만 별도로 받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가장 표준적인 방법입니다.

    1. 인터넷등기소‘ 접속 및 로그인
      회원가입 후 준비한 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확정일자’ 메뉴 선택
      상단 메뉴에서 신청>전자확정일자>신청서 작성/제출을 선택합니다.
    3. 신청서 작성
      계약서상의 부동산 정보, 임대인/임차인 인적사항을 정확히 입력합니다.
    4. 계약서 파일 첨부 및 결제
      미리 준비한 계약서 파일을 업로드하고 수수료 500원을 결제합니다.
    5. 발급 확인
      신청 후 등기소 담당자가 확인을 마치면 ‘발급하기’ 메뉴에서 확정일자가 찍힌 계약서를 출력하거나 PDF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방법 2. ‘정부24’에서 전입신고와 한번에 처리하기

    아직 전입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정부24’를 통해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신청을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1. 정부24‘ 접속 및 로그인
      회원가입 후 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전입신고’ 검색 및 신청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입력하고 신청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3. ‘확정일자 부여 신청’ 체크
      전입신고서 작성 마지막 단계에서 ‘확정일자 부여 신청’ 항목을 찾아 체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4. 계약서 파일 첨부
      준비된 계약서 파일을 업로드하면 별도의 추가 정보 입력 없이 전입신고와 함께 확정일자 신청이 완료됩니다.

    꿀팁: ‘부동산 전자계약’으로 신청 과정 자체를 생략하기

    구분등기소/정부24 직접 신청전자계약시스템(자동)
    계약서 파일 필요필요별도로 준비 불필요
    본인인증 수단필요필요
    수수료500원(등기소 기준)없음
    추가 신청 단계필요불필요(계약시 자동 부여)

    위의 두 방법보다 더 간편한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계약 단계에서부터 국토부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전자계약시스템으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면 계약이 완료되는 순간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확정일자가 자동으로 부여(신청 접수)됩니다. 계약서 파일을 따로 스캔하거나 신청서를 작성하는 모든 과정이 생략되어 가장 간편하고 빠릅니다.

    소중한 보증금을 지키는 첫걸음인 확정일자. 이제 더 이상 번거롭게 주민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됩니다. 인터넷등기소나 정부24를 통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부동산 전자계약을 활용하면 신청의 번거로움마저 사라집니다.

    📌 국토부 전자계약시스템으로 시간과 돈 아끼는 꿀Tip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