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싸인은 그렇습니다! 계약서에 도장을 찍은 후에도 ‘누군가 이 계약서를 조작하거나 위조하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이 든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전자계약이 종이계약 대비 위·변조 방지에서 아주 탁월한 이유를 모두싸인의 실제 위조 차단 기술로 명확히 증명해 드리겠습니다.
국제 인증 디지털 서명부터 문서 위변조 검증센터 등 모두싸인이 어떻게 위·변조로부터 안전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조, 변조란? 헷갈리는 용어 완벽 정리!
용어 | 정의 | 처벌 (사문서 기준) |
---|---|---|
위조 (僞造) | 작성 권한이 없는 사람이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여 문서를 새로 만드는 행위 (예: 위조 신분증, 없는 계약서를 새로 만듦)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변조 (變造) | 이미 유효하게 성립된 문서의 내용을 권한 없이 변경하는 행위 (예: 계약서의 특정 조항이나 금액을 임의로 수정)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문서 위조는 법적으로 심각한 범죄 행위이며, 종이 문서와 전자 문서 모두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위조’와 ‘변조’는 헷갈리기 쉬운 개념인데요, 이 행위들은 문서의 공공 신용을 해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되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
종이계약서의 한계
종이 계약서는 위·변조 및 분실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습니다. 육안으로 문서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기는 매우 어렵고, 위·변조가 발생했을 경우 그 사실을 입증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또한, 물리적인 보관 문제와 보안 관리의 어려움도 종이 계약서의 주요 한계점입니다.
모두싸인의 문서 위변조 불가능 4중 차단 시스템
1️⃣ 고유 문서ID(해시값)
모든 서명 완료 문서에는 고유한 문서 ID(해시값)가 부여됩니다. 이 해시값은 문서의 고유한 디지털 지문과 같아서, 문서 내용이 단 한 글자라도 변경되면 해시값도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위·변조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습니다.
2️⃣ 국제 인증 디지털 서명

국내외 전자서명 규정을 준수하는 AATL(Adobe Approved Trust List) 인증서를 기반으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활용하여 문서의 해시값을 암호화한 디지털 서명을 적용합니다.
- AATL 인증서 기반의 PDF 문서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의 진위와 시점 확인(TSA, Time Stamping Authority)을 통해 어떤 문서로 언제 전자계약을 체결했는지 검증하며, Adobe Acrobat Reader 또는 Microsoft Office에서 문서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자서명 업계 최고 수준의 암호키 보안
디지털 서명 인증서가 HSM(Hardware Security Module)에 독립적으로 저장되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감사추적인증서

모두싸인은 서명 진행에 대한 모든 이력을 ‘감사추적인증서’에 상세히 기록합니다.
여기에는 서명 입력 시간, 서명자의 IP 주소, 서명 요청자 및 서명자의 정보, 문서 정보 등 모든 전자적 기록이 포함됩니다.
이 인증서는 계약 완료 시 모든 계약자에게 자동으로 전송되며, ‘어떤 사용자’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언제’ 서명했는지 자세한 이력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 위·변조 발생 시 강력한 증거 자료가 됩니다.
4️⃣ 문서 위변조 검증센터

추가적으로 모두싸인은 자체적인 ‘문서 위변조 검증’ 기능을 지원합니다. 복잡한 절차 없이 클릭 몇 번으로 모두싸인 서버에 보관되는 문서 ID와 문서 고유의 원본 검증키(해시값) 대조를 통해 문서의 위 · 변조 여부를 쉽게 검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