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증여계약서 양식과 해설서

URL복사
주식증여계약서 양식과 해설서

주식증여계약서란?

증여자가 소유한 주식의 소유권을 대가 없이 수증자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수증자가 이를 승낙했음을 법적으로 증명하는 문서

이 계약서는 주주명부의 소유주 이름을 변경하는 ‘명의개서’ 절차를 진행하고,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를 신고 및 납부하는 데 필수적인 증빙 자료로 사용됩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8조)

주식증여계약서 필수 항목

제1조 [증여재산의 표시]

증여 재산을 명확히 특정하여 계약의 대상을 확정하고, 증여 재산 가액을 평가하는 기준 정보를 제공합니다.

  • 발행 회사명
  • 주식의 종류 (예: 의결권 있는 기명식 보통주 등 종류에 따라 달리 작성)
  • 1주당 액면가액
  • 증여하는 총 주식 수

제2조 [증여재산가액]

증여일 현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 규정에 따라 평가한 주식의 총가액과 주당 가액을 구체적 금액으로 명시

  • ex. 본 계약서 제1조의 증여재산은 20xx년 xx월 xx일 증여일 현재 「상증세법」 제60조 【평가의 원칙 등】 제63조 【유가증권 등의 평가】에 따라 산정한 금액인 금 OOO원정 (00,000,000원, 주당 0,000원)으로 한다.

제3조 [증여세액의 부담]

증여받은 주식에 대한 증여세는 수증자(“을”)가 부담함을 명확히 합니다.

증여세 납부 의무자를 명시하는 조항으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세법 규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 납세 의무자: 증여세는 재산을 받은 사람(수증자)이 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 10년간 합산 과세: 동일인에게 10년 이내에 받은 증여 재산은 모두 합산하여 세금을 계산하므로 과거 증여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증여재산 공제: 가족 관계에 따라 10년간 합산하여 일정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ex. 배우자 6억 원, 자녀 5천만 원)
  • 세금 대납 시 추가 과세: 증여자가 세금을 대신 부담하면 그 대납한 세금 액수만큼 또 증여한 것으로 보아 세금이 추가로 부과됩니다. 따라서 주식을 증여받은 수증자는 증여세 납부액을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4조 [주권교부 및 명의개서]

증여자는 계약 체결과 동시에 수증자에게 주권을 넘겨주고 회사에 주주명부의 이름을 변경(명의개서)하는 절차를 완료해야 할 의무를 집니다.

제5조 [효력]

명의개서 절차’가 완료되었을 때 효력이 발생한다고 조건을 설정합니다.

  • 계약의 효력 발생 시점과 **세법상 ‘증여시기’**를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조항
    • 증여시기: 세법에서는 객관적으로 주식을 취득한 날을 증여일로 보는데 통상적으로는 명의개서일을 그 기준으로 봅니다.
    • 증여세 신고: 바로 이 증여일(명의개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제6조 [합의 관할]

계약과 관련하여 소송이 발생할 경우, 재판을 진행할 법원을 미리 지정합니다.

제7조 [손해배상]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손해가 발생하면 귀책사유가 있는 당사자가 상대방 또는 회사에 발생한 모든 손해를 배상해야 함을 규정합니다.

제8조 [기타]

본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당사자 간의 상호 협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합니다.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