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권 보증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지식재산권 보증계약서

지식재산권 보증계약서란?

지식재산권 보증 계약서란 제품을 공급하는 자(보증인)가 해당 제품이 제 3자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하지 않았음을 보증하는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공급받은 제품 때문에 예기치 못한 지식재산권 분쟁에 휘말리는 것을 예방하고 분쟁 발생 시 공급자에게 책임을 물어 손해를 방지합니다.

지식재산권 보증계약서

지식재산권 보증계약서 작성 방법

제 2조 (정의)

: 용어를 명확히 하는가?

계약의 대상이 되는 ‘지식재산권’의 범위 ‘공급제품’ ‘생산제품’ 등의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하여 해석의 차이로 인한 분쟁을 막습니다.

제 3조 (보증)

: 무엇을 보증하는가?

공급자는 공급하는 제품이 제3자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지 않음을 보증한다는 내용을 명시합니다.

제 4조 (면책)

: 분쟁 발생 시 누가 책임지는가?

공급제품으로 인해 제3자와 지식재산권 분쟁이 발생할 경우 공급자가 모든 책임과 비용(변호사 보수, 손해배상금 등)을 부담하여 제조자를 보호한다는 내용을 규정합니다.

제 5조 (제품의 변경 등)

: 문제가 된 제품은 어떻게 처리하는가?

공급제품이 실제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명될 경우 공급자는 자기 비용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실시 권한 취득) 침해하지 않는 제품으로 수정 또는 교체해야 할 의무를 명시합니다.

전자서명으로 지식재산권 보증 계약서 전송하기

부품이나 완제품을 공급받아 다른 제품을 제조하거나 판매할 때 주로 사용되는 지식재산권 보증 계약서. 복잡한 법적 쟁점을 다루는 만큼 전자서명을 이용하면 더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계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법인공동인증서 인증으로 거래 주체 명확화
    지식재산권 보증은 반드시 법인 대 법인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법인공동인증서 인증 기능으로 서명하는 주체가 해당 법인임을 명확히 검증하여 계약의 신뢰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내부결재 기능으로 발송 전 법무팀 검토
    지식재산권 관련 계약은 법적 리스크가 크므로 발송 전 반드시 법무팀이나 상급자의 검토가 필요합니다. 내부결재 기능을 활용하면 계약서 발송 전 필수 결재 라인을 시스템에 설정하여 오류를 방지하고 내부 통제 절차를 준수할 수 있습니다.
  • 감사추적인증서로 분쟁에 완벽 대비
    향후 지식재산권 침해 분쟁이 발생했을 때 감사추적인증서는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상대방이 언제, 어떤 내용의 보증 계약에 동의했는지 모든 과정이 기록되어 우리 회사를 법적으로 보호합니다.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