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각본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표준각본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표준각본계약서란?

표준각본계약서란 영화 제작사가 작가에게 특정 원안을 기초로 극장용 장편영화의 각본(시나리오) 집필을 의뢰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작가의 창작 활동을 보호하는 동시에 제작사가 안정적으로 영화 제작을 추진할 수 있도록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저작권의 귀속이나 수익 분배 등 민감한 내용을 다루므로 꼼꼼한 작성이 필수입니다.

표준각본계약서

표준각본계약서 작성 방법

제 4 조 (시나리오의 집필)

: 언제까지 어떻게 작업하는가?

전체 집필 기간과 단계별 결과물(트리트먼트, 초고, 2고 등)의 제출 일정을 구체적으로 명시

제작사가 각 단계별 결과물을 검토하고 다음 단계 진행 여부를 통보하는 기간도 함께 정해두면 좋음

제 8 조 (권리의 귀속 등)

: 완성된 시나리오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완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의 저작권은 일반적으로 제작사에게 귀속

다만 영화 외에 드라마나 공연 등 2차적 저작물에 대한 권리는 작가와 별도 협의를 거쳐야 함을 명시

제 10 조 (시나리오 집필 및 저작권 양도의 대가 지급)

: 집필료는 얼마이며 어떻게 지급하는가?

총 집필료와 지급 일정을 명확히 기재

일반적으로 계약 체결 후, 초고 완료 후 등 단계별로 나누어 지급

영화의 순이익 발생 시 작가에게 제공될 수익지분(러닝 개런티)에 대해서도 약정

제 11 조 (크레딧)

: 작가의 이름은 어떻게 올라가는가?

완성된 영화에 작가의 크레딧을 ‘각본 OOO’와 같이 어떻게 표기할지 그 방식과 순서 등을 정함

다른 작가와 공동 작업 시 크레딧 표기 순서도 미리 협의해두면 좋음

전자서명으로 표준각본계약서 전송하기

하나의 영화가 탄생하기까지 수많은 논의와 수정이 오가는 각본 계약. 전자서명을 이용해 복잡한 계약 과정을 더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해보세요.

  • 첨부파일 기능으로 원안까지 한번에 관리
    각본 계약의 기준이 되는 원안 파일을 계약서에 직접 첨부하여 보낼 수 있습니다. 계약서와 원안을 하나의 문서에서 관리하여 양측이 동일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업하고 있는지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내부결재 기능으로 체계적인 검토 및 승인
    시나리오의 단계별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은 프로듀서 감독 등 여러 내부 관계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내부결재 기능을 활용하면 작가에게 공식적인 피드백을 전달하기 전 정해진 결재선에 따라 내부 관계자들의 승인을 먼저 받을 수 있습니다.
  • 감사추적인증서로 분쟁에 완벽 대비
    집필료 지급 시점이나 저작권 귀속 등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분쟁에서 감사추적인증서는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누가 언제 어떤 내용으로 계약에 합의했는지 모든 과정이 기록되어 창작자의 권리와 제작사의 권리를 모두 보호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