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N 가입 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MCN가입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MCN 가입 계약서란?

MCN(Multi-Channel Network) 가입 계약서는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채널을 MCN 회사에 소속시키고 회사는 크리에이터에게 채널 성장, 콘텐츠 제작, 수익 창출 등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체결하는 문서입니다.

MCN 가입 계약서 필수 및 중요 조항

제2조 (정의)

계약서의 모든 조항을 해석하는 기준입니다. 특히 ‘채널’의 범위(유튜브, SNS 등), ‘콘텐츠’의 정의, 그리고 가장 분쟁이 잦은 ‘수익’을 어떻게 정의할지 양측이 명확하게 합의하고 규정하여 의사 불일치로 인한 다툼의 소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제5조 (회사의 부여된 독점배타적 권한)

MCN이 크리에이터의 채널과 콘텐츠를 활용해 어떤 사업을 독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정하는 조항입니다. 최근 MCN의 역할이 단순 광고 수익 정산을 넘어 방송 출연이나 상품화 사업(MD) 등 연예인 매니지먼트와 유사해지고 있어 그 권한의 범위를 신중하게 협의해야 합니다.

다만, MCN이 콘텐츠를 임의로 수정·삭제하는 것은 저작자의 동일성유지권을 침해할 수 있어 법령 준수나 저작권 관리 등 구체적으로 정해진 사유 외에는 허용되지 않도록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8조 (크리에이터의 권리와 의무)

MCN 계약은 크리에이터의 창작 활동이 기반이므로 회사의 강요에 의한 부당한 출연 등을 방지하기 위한 조항입니다. 또한, MCN의 귀책사유가 없는 경우에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저작원 침해 책임을 지도록 하였습니다. 이는모든 책임을 크리에이터에게 떠넘기지 않도록 하는 공정위 시정 조치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제9조 (지식재산권)

계약기간 동안 제작되는 여러 유형의 콘텐츠에 대한 지식 재산권의 귀속에 대한 규정입니다. 보통 ①크리에이터가 단독 기획·제작한 콘텐츠는 크리에이터에게, ②MCN의 기획과 비용으로 제작된 콘텐츠는 MCN에게 ③양측이 공동으로 기획·제작한 콘텐츠는 공동으로 소유하는 방식으로 규정합니다.

제13조 (계약기간 및 해지)

계약 기간은 보통 2~3년으로 설정하지만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될 경우 MCN은 계약 만료 전 크리에이터에게 ‘별도의 의사표시가 없으면 자동 연장된다’는 사실을 미리 고지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일방의 귀책사유로 계약을 해지할 때의 위약금은 ‘해지 직전 6개월 월평균 수익 X 남은 계약 개월 수’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이를 초과하는 별도의 손해배상 청구는 제한되는 것이 공정위 시정 기준입니다.

전자서명으로 MCN 가입 계약서 전송하기

MCN 계약은 크리에이터와 회사의 장기적인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하며 복잡한 권리와 지속적인 수익 정산을 다루는 중요한 파트너십 계약입니다. 따라서 모든 합의 과정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처리하고 그 기록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비대면으로 간편하고 빠른 계약 체결: MCN과 크리에이터는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자계약을 이용하면 직접 만나거나 우편을 기다릴 필요 없이 PC나 모바일로 계약을 비대면으로 체결할 수 있습니다.
  • 계약서의 자동 교부 및 보관: 서명이 완료된 계약서는 즉시 양측에게 자동으로 전송되고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계약서를 분실할 위험이 없습니다.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