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징계사유 통지 및 소명요청서란?
징계사유 통지 및 소명요청서란 징계 절차에 앞서 근로자에게 해당 징계 사유를 서면으로 통지하고 이에 대한 소명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근로기준법 제23조 제2항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 또는 징계하려면 반드시 사전에 그 사유와 기회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하며 이 절차를 생략하면 징계 효력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징계사유 통지 및 소명요청서 작성 방법
① 징계사유 명확히 기재
- 사실관계에 기반한 구체적인 징계사유 작성
- (예: 2025년 8월 3일, 무단결근 3일 발생 등)
② 소명기한 및 방법 명시
- 소명 의견 제출 마감일과 **제출 방식(서면/면담 등)**을 명확히 안내
- (예: 2025년 8월 10일까지 인사팀에 이메일 제출)
③ 근거 규정 명시
- 취업규칙, 단체협약, 인사 규정 등 관련 조항을 기재하여 징계 타당성 보강
전자서명으로 징계사유 통지 및 소명요청서 전송하기
‘템플릿’ 등록으로 반복 통지 절차 간소화
동일 양식을 템플릿으로 저장해두면 사건별 주요 내용만 수정해 반복 발송할 수 있어 인사 실무 효율이 높아집니다.
- 사유, 기한 등 핵심 내용만 입력 후 전송
- 동일 문서 양식을 활용한 통지 절차의 표준화 가능
‘구글 드라이브 문서’ 자동 백업 기능
징계사유 통지 및 소명요청서는 법적 효력뿐 아니라 사내 인사관리 기록의 주요 근거가 됩니다.
- 구글 드라이브 내 지정된 폴더에 자동 저장되어 문서 누락 및 분실 위험 최소화
- HR 부서 간 공유를 통해 징계 절차 이력 관리와 후속 조치 연계 가능
최재윤 변호사님이 검토한 징계사유 통지 및 소명요청서 양식을 기반으로 징계 절차의 적법성과 구성원의 소명 기회를 보장하는 법적 요건을 충족한 문서를 안전하게 발송·보관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