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 연구개발 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위탁 연구개발 계약서

위탁 연구개발 계약서란?

위탁 연구개발 계약서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특정 기술이나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을 맡기고 수탁자는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로 약정하는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연구개발의 목표와 범위 연구개발비의 지급 방법 그리고 그 결과물의 소유권 귀속 등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여 기술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합니다.

위탁 연구개발 계약서

위탁 연구개발 계약서 작성 방법

제 3조 (연구개발 범위 등)

: 무엇을 어디까지 개발하는가?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와 내용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연구개발 계획서’를 첨부하여 상세한 내용을 규정합니다.

제 5조 (연구개발비 지급)

: 연구비는 얼마이며 어떻게 지급하는가?

총 연구개발비를 명확히 하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지급할지 정합니다. 보통 계약 시 지급하는 선급금, 중간 보고 시 지급하는 중도금, 최종 완료 후 지급하는 잔금으로 나누어 약정합니다.

제 6조 (평가 시험 등)

: 개발 완료는 어떻게 판단하는가?

연구개발 결과물이 목표를 달성했는지 판단하기 위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명시합니다. 평가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추가 연구개발 기간이나 횟수를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제 8조 (연구개발 산출물 귀속)

: 결과물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연구개발을 통해 만들어진 특허권 등 지식재산권과 각종 기술 문서 등 모든 결과물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귀속될지 정하는 가장 중요한 조항입니다. 위탁자 소유, 수탁자 소유, 또는 공동 소유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습니다.

전자서명으로 위탁 연구개발 계약서 전송하기

기업의 미래 기술을 책임지는 중요한 위탁 연구개발 계약. 복잡한 내용과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는 만큼 전자서명을 이용하면 계약 과정을 더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기능으로 연구개발 계획서 통합 관리
    위탁 연구개발 계약의 핵심은 상세한 ‘연구개발 계획서’입니다. 계약서에 이 계획서를 첨부하여 한번에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워크스페이스 기능으로 체계적인 협업
    연구개발 프로젝트에는 양측 연구원뿐 아니라 법무팀 재무팀 등 여러 부서가 참여합니다. 워크스페이스에 내부 관계자를 초대하여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권한을 설정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협업할 수 있습니다.
  • 내부결재 기능으로 발송 전 최종 검토
    중요한 연구개발 계약은 발송 전 반드시 내부의 최종 승인이 필요합니다. 내부결재 기능을 활용하면 계약서 발송 전 CTO나 연구소장 등 필수 결재 라인을 시스템에 설정하여 리스크를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습니다.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