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 실시권 설정계약서란?
특허 실시권 설정계약서란 특허권자(라이센서)가 다른 사람(실시권자)에게 자신의 특허를 정해진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실시권자는 그 대가로 실시료(로열티)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특허 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확장하거나 기술을 이전할 때 필수적입니다. 실시권의 종류 기간 지역 실시료 등 핵심 조건을 명확히 하여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확정하고 분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허 실시권 설정 계약서 작성 방법
제 2조 (본건 특허의 표시)
: 어떤 특허를 허락하는가?
사용을 허락할 특허의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등록번호 등을 명확하게 기재하여 실시권의 대상을 특정해야 합니다.
제 3조 (실시권의 범위)
: 어디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실시권의 범위를 명확히 정의하는 핵심 조항입니다. 실시 기간, 다른 사람에게도 허락할 수 있는지 여부(통상/전용 실시권), 사용 가능한 지역(대한민국 전역 등)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합니다.
제 5조 (실시료)
: 사용료는 얼마이며 어떻게 내는가?
특허 사용의 대가인 실시료를 정하는 조항입니다. 계약 시 한번 지급하는 선급금(초기 기술료)과 매출액의 일정 비율로 지급하는 경상실시료(러닝 로열티)로 나누어 약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제 11조 (실시권 양도 등)
: 다른 사람에게 재실시를 허락할 수 있는가?
실시권자가 특허권자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제3자에게 다시 실시권을 허락하는 재실시(서브라이선스)를 설정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내용을 명시합니다.
전자서명으로 특허 실시권 설정계약서 전송하기
기업의 핵심 기술 자산을 활용하는 특허 실시권 설정 계약. 내용이 복잡하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전제하는 만큼, 계약의 시작부터 명확하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전자서명으로 복잡한 라이선스 계약을 더 스마트하게 관리해 보세요.
- 첨부파일 기능으로 기술 자료 통합 관리
계약의 근거가 되는 특허증 사본, 상세 기술 명세서, 도면 등을 계약서에 직접 첨부하여 보낼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를 하나의 계약 내에서 관리하여 혼선을 막고 합의 내용을 명확히 합니다.
- 워크스페이스 기능으로 체계적인 협업
특허 계약에는 양측 담당자뿐 아니라 변리사나 법무팀 등 여러 전문가가 참여합니다. 워크스페이스에 모든 관계자를 초대하여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권한을 설정하여 안전하고 체계적인 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리마인더 기능으로 실시료 정산 및 갱신 관리
실시권 계약은 매년 경상실시료를 정산하거나 계약 기간 만료 시 갱신을 논의해야 합니다. ‘계약 리마인더’ 기능을 설정해두면 정산 보고나 갱신 협의가 필요한 시점을 놓치지 않도록 자동으로 알려주어 장기적인 파트너십 관리를 돕습니다.

위포커스 특허법률사무소는
국내 대표 기술특례상장 전문 변리사와 검찰 출신 IP 분쟁 전문 변리사를 필두로
고객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핵심 가치로 하는 변리사 사무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