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정조치 결과보고서 및 이의신청서란?
현장 점검 후 지적사항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후속 조치를 공식적으로 기록하고 보고하는 문서입니다. 시정조치를 완료했을 때는 ‘조치결과 보고서’를, 점검 내용에 이견이 있을 경우에는 ‘이의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이 서류는 지적사항이 누락 없이 개선되었음을 증명하거나, 점검 결과에 대한 이견을 공식적으로 제기하여 분쟁을 해결하고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시정조치 결과보고서 및 이의신청서 작성 방법
1. 시정조치 결과보고서 :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 조치가 완료되었을 때 작성합니다.
- 지적내용: 어떤 부분을 지적받았는지 명확하게 기재합니다.
- 조치결과: 지적내용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서술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정 전·후 사진 및 증빙서류’를 반드시 첨부하여 개선되었음을 객관적으로 증명해야 합니다.
- 조치완료일: 실제 조치를 완료한 날짜를 정확히 기입합니다.
- 서명: 현장대리인(시공사)이 작성하고, 건설사업관리기술인(감리)이 그 내용을 확인한 후 서명하여 상호 합의가 되었음을 증명합니다.
2. 이의신청서 : 점검 결과에 동의할 수 없거나 사실관계가 다른 부분이 있다고 판단될 때 작성합니다.
- 이의신청 내용: 점검 결과 중 어떤 항목에 동의할 수 없는지 명시합니다.
- 이의신청 사유: 동의할 수 없는 이유를 관련 법규, 설계도서, 현장 여건 등을 근거로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주관적인 주장보다는 명확한 근거 자료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자서명으로 후속 조치 문서 관리하기
점검 후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 조치는 프로젝트의 지연을 막고 분쟁을 예방하는 핵심입니다. 현장을 오가며 서류를 처리하느라 시간을 허비할 수 없습니다. 이제 전자서명으로 후속 조치를 빠르고 명확하게 처리해 보세요.
- 첨부파일 기능으로 명확한 증빙 제출
‘시정 전·후 사진’과 같은 필수 증빙 자료를 보고서에 직접 첨부하여 발송할 수 있습니다. 여러 파일을 따로 보낼 필요 없이 하나의 문서로 묶어 관리하므로 누락의 위험이 없고 증거력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리마인더 기능으로 제출 기한 준수
보고서 제출 기한을 놓치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명 요청 시 리마인더를 설정해두면 마감일 전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알림을 보내주어, 기한 내에 서류가 처리되도록 돕습니다.
- 카카오톡/이메일 서명 요청으로 신속한 확인
현장에 있는 현장대리인이나 감리 담당자에게 카카오톡이나 이메일로 서명을 바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에 복귀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으로 내용을 확인하고 서명할 수 있어 후속 조치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