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싸인 ‘서식 검색 & 문서 작성 기능’ 이 출시되었습니다! 100여 종 법률 서식을 무료로 이용하고, 서식을 상황에 맞게 편집 후 바로 계약 진행까지! 모두싸인 서식 검색 & 문서 작성 기능으로 계약 문서 작성부터 편리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전자계약 서비스 기업 모두싸인(대표 이영준)이 통합 인력관리 솔루션 기업 시프티(대표 신승원)와 전자계약 서비스 연동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모두싸인에서 제공하는 전자서명 모듈과 시프티 솔루션 간 연동을 완료했다고 11월 1일 밝혔다.
종이, 도장 없는 계약이 가능할까. 전자계약이라면 가능하다. 하지만 종이계약의 신뢰성과 범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전자계약의 숙제다. 전염병 대유행과 기술적 진보가 이 같은 난제를 단숨에 뚫었다. 전자계약 확산의 변곡점은 코로나19다. 삼성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전자서명이라는 메가트렌드는 이미 막을 수 없는 흐름”이라고 규정했다. 미국의 글로벌 전자계약솔루션 기업 도큐사인(DocuSign)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보다 50% 가량 증가한 14억5300만달러(약 1조7240억원)다.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약 50만개 글로벌 기업이 고객이며, 전세계 시장 점유율은 70%가 넘는다. 하지만 한국시장에선 모두싸인(MODUSIGN, 대표 이영준)이 단연 1등이다.
29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에 따르면 코스포 산하 리걸테크산업협의회에 참여한 스타트업은 25개사다. 작년 12월 협의회 출범 당시 20개사에서 1년이 채 안 돼 5곳 늘었다. 이 협의회는 업체 간 소통을 통한 기술 발전과 제도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꾸려졌다. 협의회 출범 후 새로 참여한 업체는 내용증명의 힘, 리걸엔진, 모두싸인, 세무통, 불후의변호사다. 내용증명의 힘은 변호사들이 직접 작성한 내용증명 샘플을 무료로 이용해 직접 내용증명을 작성해볼 수 있는 서비스다. 리걸엔진은 법원의 판례와 유권해석을 검색해볼 수 있는 사이트며, 모두싸인은 전자계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무통은 세무사 가격비교 사이트, 불후의변호사는 법률 중개 플랫폼이다.
장기 숙박 서비스 플랫폼 미스터멘션(정성준 대표)은 모두싸인(이영준 대표)과 14일 전자계약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미스터멘션은 장기 숙박 서비스 이용 고객을 위해 보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숙소 예약 절차를 마련할 계획이다.
간편 전자계약 서비스 모두싸인(대표 이영준)은 편의점 CU를 운영하고 있는 BGF리테일에 전자근로계약 시스템을 공급했다고 8일 밝혔다. CU 직영점에서는 현재 모두싸인 전자계약 시스템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모두싸인은 비대면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간편 전자계약 서비스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이메일이나 카카오톡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계약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모두싸인의 조직관리 기능이 새로워졌습니다! NEW ‘조직 관리’ 에 대해 알려드리니, 우리 회사 조직도에 기반한 팀 구성과 권한 설정 및 문서 통합 관리로 계약 업무의 효율 상승을 직접 경험해보세요!
안녕하세요, 간편 전자계약 서비스 모두싸인입니다.모두싸인이 단시간근로자 근로계약 체결 문화 정착을 위해 급구와…
부산대학교(총장 차정인)는 부산대학교기술지주㈜가 대학 창업 활성화 및 교내 스타트업 캠퍼스 문화 확산을 위해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3일간 기술창업주간 행사인 「PNU Tech Biz Week 2021」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모두싸인(대표 이영준)은 급구를 운영 중인 니더와 근로계약 체결 문화 정착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합력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모두싸인과 급구는 자영업자와 단시간근로자 대상 전자근로계약 서비스 무료 이용 지원에 대한 상호협력 방안을 마련했다.
30일 부산형 기업가정신의 방향과 창업주도형 미래인재상을 제시하기 위한 ‘산업혁신리더 심포지엄’이 해운대구에 위치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서는 부산의 미래를 이끌 혁신인재상을 도출하고, 다양하고 실험적인 육성방안을 제시됐다.
코로나19가 국내에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된 요즘 한국형 전자계약 시스템으로 탁월한 서비스를 제공 중인 모두싸인이 롯데글로벌로지스, 대웅제약, 카카오 등 많은 기업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파견근로자는 사용사업주와 직접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이 아니며, 해당 회사의 소속 직원도 아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을 주지해야 할 의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1일 8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하고 1주 총 16시간의 연장근로를 한 경우 주52시간 제도를 위반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