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란?

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란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음악감독에게 작품에 사용할 주제가 등 음악 개발을 의뢰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개발할 음악의 범위와 기간, 대가, 지급 방식 그리고 완성된 음악의 저작권 귀속 문제 등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여 분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

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 작성 방법

제 2 조 (음악제작 개요)

: 어떤 음악을 만드는가?

  • 계약의 대상이 되는 애니메이션의 제목, 장르, 제작 분량 등을 명확히 작성
  • 제작해야 할 음악(주제가, 배경음악 등)의 개수를 구체적으로 기재

제 3 조 (음악의 개발 기간 및 제출)

: 언제까지 어떻게 작업하는가?

  • 전체 개발 기간과 1차, 2차, 최종 결과물 등 단계별 음악의 제출 일정을 구체적으로 명시

제 4 조 (대가 및 정산)

: 개발비는 얼마이며 어떻게 지급하는가?

  • 총 음악 제작 대가와 지급 일정을 명확히 기재
  • 일반적으로 계약금 1차 결과물 납품 후, 2차 결과물 납품 후 등 단계별로 나누어 지급

제 9 조 (지식재산권)

: 완성된 음악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 완성된 음악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 될지 정하는 핵심 조항
  • 일반적으로 창작자인 음악감독에게 저작권이 귀속
  • 제작사는 해당 애니메이션 용도로 음악을 사용할 권리를 가짐

제 10 조 (크레딧 표기)

: 음악감독의 이름은 어떻게 올라가는가?

  • 완성된 애니메이션에 음악감독의 크레딧을 어떻게 표기할지, 방식과 순서 등을 정함

전자서명으로 애니메이션 음악 개발 표준계약서 전송하기

하나의 애니메이션이 탄생하기까지 수많은 논의와 수정이 오가는 음악 개발 계약.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복잡한 계약 과정을 더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해보세요.

  • 첨부파일 기능으로 기획안까지 한번에 관리
    음악 개발의 기준이 되는 애니메이션 상세 개요나 기획안 파일을 계약서에 직접 첨부하여 보낼 수 있습니다. 계약서와 참고 자료를 하나의 문서에서 관리하여 양측이 동일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업하고 있는지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내부결재 기능으로 체계적인 검토 및 승인
    음악의 단계별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은 프로듀서 감독 등 여러 내부 관계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내부결재 기능을 활용하면 음악감독에게 공식적인 피드백을 전달하기 전 정해진 결재선에 따라 내부 관계자들의 승인을 먼저 받을 수 있습니다.
  • 리마인더 기능으로 마감일 및 정산일 관리
    음악 개발 계약은 1차, 2차, 최종 결과물 등 단계별 마감일과 계약금, 중도금, 잔금 등 대금 지급일이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리마인더’ 기능을 설정해두면 중요한 마감일이나 정산일을 놓치지 않도록 자동으로 알려주어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돕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