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 양식과 작성법

URL복사
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

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란?

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란 소프트웨어 개발, 설계, 콘텐츠 제작 등 지식이나 정보의 산출물을 위탁하는 용역 하도급거래에서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 간의 공정한 계약 체결을 위해 마련된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특히 결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귀속, 대금 지급 조건 등을 명확히 하여 상대적으로 교섭력이 약한 수급사업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양측의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

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 작성 방법

나. 계약금액

: 대금은 언제, 어떻게 지급되는가?

총 계약금액과 부가가치세를 명시하고, 선급금, 중도금, 잔금의 지급 비율과 지급 기일, 지급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조항입니다. 특히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선급금을 받은 경우, 15일 이내에 그 내용과 비율에 따라 수급사업자에게 선급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바. 납품(완성)일자 및 장소

: 완성된 성과물은 언제, 어디로 전달해야 하는가?

수급사업자가 개발·제작한 성과물을 원사업자에게 납품할 정확한 날짜와 장소를 지정하는 조항입니다.

차. 지체상금요율 & 제47조 (지체상금)

: 납품이 늦어지면 어떻게 되는가?

수급사업자가 정해진 납품 기일을 지키지 못할 경우 부담해야 할 손해배상액(지체상금)을 정하는 규정입니다. 지체일수 1일당 계약금액의 일정 비율(요율)을 곱하여 산정하므로 계약 초기 ‘전문’에 지체상금요율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제24조 (지식재산권 등)

: 결과물에 대한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용역계약에서 가장 중요한 조항 중 하나로, 계약의 결과로 창작된 성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이를 창작한 수급사업자에게 귀속되는 것이 원칙임을 명시하는 조항입니다.

만약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개발했다면 별도의 약정이 없는 한 공유하게 되며, 권리 귀속에 대한 다른 합의가 있다면 반드시 서면으로 명확하게 규정해야 합니다.

전자서명으로 범용(용역-지식정보성과물) 표준하도급계약서 전송하기

지식재산권과 같은 무형의 자산을 다루는 용역 하도급계약은 권리관계를 명확히 하고 모든 합의 내용을 투명하게 기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제 전자서명으로 복잡하고 중요한 용역 하도급계약을 더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보세요.

  • 첨부파일 기능으로 과업지시서 등 관련 서류 통합 관리
    계약의 근거가 되는 과업지시서, 설계도, 산출내역서, 비밀유지계약서 등을 계약서에 직접 첨부하여 발송할 수 있습니다.
  • 내부결재 기능으로 계약 발송 전 법무팀 검토 진행
    계약서 발송 전 결재선을 설정하면, 내부 승인을 완료한 계약서만 파트너사에게 전달하여 안전합니다.
  • 감사추적인증서로 계약의 법적 증거력 확보
    계약이 완료되면 서명 참여자의 정보(이메일, Ip주소, 서명 시간 등)가 상세히 기록된 감사추적인증서가 발급됩니다.

URL복사

모두싸인으로 5분 만에 끝내는 계약 업무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언제 어디서든 5분 만에 계약 완료!
계약서 작성부터 체결, 관리까지 모두싸인 전자계약으로 한 번에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