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싸인과 올인원 쇼핑몰 플랫폼 식스샵이 함께 모두싸인 고객님을 위한 특별한 제휴 혜택을 준비했습니다! 온라인 판매를 위해 쇼핑몰 웹사이트 제작이 필요한 고객님께 식스샵 이용 혜택을 제공합니다. 모두싸인 이용 고객님이라면 누구나, 식스샵을 할인 받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두싸인이 ‘2022 제16회 대한민국 서비스만족 대상’ E-서비스 부문 3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모두싸인은 ‘17년, ‘20년, ‘21년, ‘22년 총 4회, 올해로 3년 연속 E서비스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국내 전자계약 전문기업 모두싸인(대표 이영준)이 ‘대한민국 서비스만족 대상’ E-서비스 부문 3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다고 최근 밝혔다. ‘대한민국 서비스만족 대상’은 한국일보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소비자 만족 서비스 체제를 확산하고자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 및 기관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2022년 올해 비대면 바우처 수요기업은 고용원이 있는 중소기업이라면 신청 후 활용계획 평가를 통해 고득점 순으로 최종 선정됩니다. 2022 비대면 바우처 수요기업 신청 절차, 필요한 서류 준비 등 모든 부분을 확인해보세요!
모두싸인 전자계약 서비스의 2022년 3월 중 개선 및 업데이트된 기능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 사인/날인 입력란 위치 고정 및 개수 확대 – 휴지통 기능 : 문서 접근 권한 삭제 – 링크서명 : 불특정 다수에게 서명 링크 발송, 자동 문서 교부 등
전자계약 서비스 업체 모두싸인은 기업용 솔루션 전문 총판기업 에쓰티케이와 총판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계약 SaaS 시장 확대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모두싸인이 3년 연속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지원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모두싸인은 지난 2020년부터 시행된 K-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지원사업에 올해로 3년 연속 공급기업으로 선정됐습니다.
국내 1위 전자계약 서비스 모두싸인(대표 이영준)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K-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으로 3년 연속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모두싸인은 재택근무(협업 Tool), 화상회의,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3개의 지원 분야 중 재택근무(협업 Tool) 분야 공급기업으로 최종 선정됐으며, 4월 선정되는 수요기업들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전자계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직방은 17일 식품 기업 아워홈과 원격근무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프롭테크(proptech·부동산과 기술의 합성어) 기업 직방이 개발한 메타버스 공간 ‘메타폴리스’ 내 42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양사는 업무제휴를 위한 양해각서에 전자계약 서비스 ‘모두싸인’을 이용해 서명하는 등 협약식 전 과정을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진행했다.
2022년 비대면 바우처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필수로 확인해야할 부분을 비대면 바우처 QnA로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꼭 확인하셔서 비대면바우처 수요기업 모집 전 필요한 부분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부산 대표기업 잔다(대표 김화현)와 전자계약 전문기업 모두싸인(대표 이영준)이 지난 7일 전자계약 API 연동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잔다 이용 고객은 잔다의 판매·예약 솔루션 ‘정글부킹’ 내에서 결제 및 주문 만으로도 계약서를 자동 발송할 수 있고, 모두싸인 이용 고객은 정글부킹의 월 구독형 서비스를 정가 대비 20%에서 최대 3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모두싸인의 혁신은 가입 기업의 기록에서 나타난다. 2021년 한 해 동안 모두싸인을 새롭게 도입한 기업은 5만4000여 개의 기업으로 2020년 대비 180% 이상 성장했다. 모두싸인의 성장의 원동력은 계약의 간편화에 있다. 모두싸인 서비스는 문서 작성 및 업로드, 계약서 전송, 서명 입력(계약 체결), 계약서 보관 및 관리까지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대량전송, 맞춤 브랜딩, 조직관리, API연동 등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기능도 도입되어 있다.
파견근로자는 사용사업주와 직접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이 아니며, 해당 회사의 소속 직원도 아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을 주지해야 할 의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1일 8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하고 1주 총 16시간의 연장근로를 한 경우 주52시간 제도를 위반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