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톡옵션 부여(주식매수선택권) 계약서란?
회사가 임직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목적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회사 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주식매수선택권)를 부여하면서 그 구체적인 조건과 내용을 명시하는 법적 문서
스톡옵션 부여(주식매수선택권) 계약서 필수 항목
제2조. 행사가격 및 수량
- 내가 미래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가격(행사가격)과 부여받는 주식의 총 수량이 얼마인지 정확히 확인 (행사가격과 수량은 내 스톡옵션의 잠재적 가치를 결정합니다.)
제5조. 행사기간
-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행사할 수 있으며 이 기간은 단축할 수 없습니다.
제10조. 부여의 취소
권리자에게 가장 큰 위험이 되는 조항으로 어떤 경우에 부여받은 스톡옵션이 취소되는지 명시합니다.
- 1. 본인의 의사에 따라 사임하거나 사직한 경우
- 2.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 3. 해당 회사의 파산 등으로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 4.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와 체결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제7조 & 제11조. 행사가격 조정 및 승계
회사의 구조적 변화(증자, 합병 등)가 발생할 때 내 권리가 어떻게 보호되는지 다룹니다.
- 유상증자, 주식분할, 합병 등 주식 가치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발생 시 내 행사가격과 수량이 불리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희석 방지 조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회사가 인수합병(M&A)될 경우 내 스톡옵션이 존속회사에 그대로 승계되는지 아니면 합병 전에 강제로 행사해야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제9조. 양도 등의 제한
- 스톡옵션은 양도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나, 스톡옵션 재직기간요건을 충족하고 이를 행사할 수 있는 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그 상속인이 예외적으로 행사할 수 있습니다(상법 제340조의4 제2항).

법무법인 비트는 ICT 벤처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이퍼커넥트, 두나무 등 스타트업부터 알토스벤처스, 스프링캠프 등 벤처캐피탈을 포함한
다수의 일반 기업, 스타트업 회사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